전체 글

전체 글

    Windows 환경에서 Github pages와 jekyll 를 활용해 나만의 블로그 웹호스팅하기

    개발 공부를 하면서, 그날 배운 내용이나 깨달은 점을 매번 블로그의 포스트로 남기면 좋겠지만, 시간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약간 부담스러울 때가 있다. 이럴 때 그냥 내 머릿속에 Input만 하고 넘어가자니, 쉽게 까먹을 것 같아서, OUTPUT을 하며 학습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가장 알맞은 방법이 TIL(Today I Learned) 작성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여러가지를 고려해서 TIL을 작성할 목적으로 티스토리보다는 깃허브 블로그가 더 적합하다고 생각되어 GithubPages와 jekyll을 활용하여 나만의 블로그를 호스팅 하기로 결정했다. 그럼 Windows 환경에서 Github pages와 jekyll 를 활용해 나만의 블로그를 호스팅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순서는 이렇다. 1.github page..

    GitHub push에도 travis-ci 가 동작되지 않을 때.

    처음 travis-ci와 github을 연동하고 수동배포 -> 자동배포 -> 무중단 배포를 연습하던 도중, 갑자기 travis-ci와 연동된 github 레포지토리의 push 이벤트에도 travis-ci가 먹통이 되었다. 애초에 실행되지도 않으니 에러 로그도 뭐도 없고 한참을 헤메다가 해결책을 찾았다. 이유는 간단한다. github의 webhook 이 설정되지 않아서 그렇다. 레포지토리 설정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webhook을 설정하면 된다. Payload URL : webhook POST request를 받을 서버 URL이다. https://notify.travis-ci.com 을 입력해준다. Content type : URL 입력시 자동으로 application/x-www-form-urlencode..

    Amzone Linux AMI 2 인스턴스의 Hostname 변경하기

    Amazone Linux AMI 1의 경우, /etc/sysconfig/network 파일의 HOSTNAME 부분을 수정하면 되지만, Amazone Linux AMI 2의 경우는 그 방법이 바뀌었다. 2022년 현재 더 이상 신규로 Amazone Linux AMI 1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으므로, 여기서는 AMI2의 경우의 HOSTNAME 수정법만 정리하겠다. 방법은 간단하다. sudo hostnamectl set-hostname 원하는 호스트네임.localdomain 명령어로 호스트네임을 설정하면 끝이다. hostname으로 변경된 호스트네임을 확인 할 수 있다. sudo reboot 으로 재시작하여 변경된 호스트네임이 반영된 것을 확인하자. 성공적으로 반영되었지만, 여기서 한가지 작업을 추가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