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뮈_b
까뮈의 개발 노트
까뮈_b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3)
    • JAVA (0)
    • Spring (4)
    • JPA (1)
    • JavaScript (1)
    • DB (0)
      • Mysql (0)
    • Tools (4)
      • IntelliJ (2)
      • WebStorm (1)
      • Flyway (1)
    • 에러노트 (2)
    • 생각노트 (1)
    • Git (4)
    • HTML&CSS (1)
    • Laravel (2)
    • AWS (3)
    • Server (0)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인기 글

태그

  • ElasticBeanstalk 버그
  • 502 Bad Gateway
  • AWS
  • 컴포넌트 스캔
  • componentscan
  • 의존관계 주입
  • netstat
  • DBEngineVersion
  • ElasticBeanstalk
  • 무중단배포
  • spring
  • start.spring.io
  • AWS ElasticBeanstalk
  • 리버스 프록시 서버
  • webstorm keymap
  • Non-ASCII Characters
  • Amzone Linux AMI 2
  • EC2 호스트네임 변경
  • 111: Connection refused
  • 구조 분해 할당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까뮈_b

까뮈의 개발 노트

GitHub push에도 travis-ci 가 동작되지 않을 때.
AWS

GitHub push에도 travis-ci 가 동작되지 않을 때.

2022. 5. 17. 14:20

처음 travis-ci와 github을 연동하고 수동배포 -> 자동배포 -> 무중단 배포를 연습하던 도중,

갑자기 travis-ci와 연동된 github 레포지토리의 push 이벤트에도 travis-ci가 먹통이 되었다.

 

애초에 실행되지도 않으니 에러 로그도 뭐도 없고 한참을 헤메다가 해결책을 찾았다.

 

이유는 간단한다. github의 webhook 이 설정되지 않아서 그렇다.

 

레포지토리 설정에서 아래 사진과 같이 webhook을 설정하면 된다.

Add webhook 클릭

 

 

Payload URL : webhook POST request를 받을 서버 URL이다. https://notify.travis-ci.com 을 입력해준다.

Content type : URL 입력시 자동으로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로 바뀌는데, 그대로 두면 된다.

 

which events would you like to trigger this webhook? : 말 그대로 어떤 이벤트가 감지 되었을 때 이 webhook을 트리거 할 것인지 고르면 된다.

 

원하는 이벤트를 따로 지정하고 싶으면 맨 아래 옵션을 클릭하고 지정해준다.

 

event 세부설정

 

이제 travis-ci가 정상적으로 트리거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lasticBeanstalk 콘솔에서 RDS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 해결  (2) 2022.06.27
Amzone Linux AMI 2 인스턴스의 Hostname 변경하기  (0) 2022.05.13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WS ElasticBeanstalk 콘솔에서 RDS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 해결
    • Amzone Linux AMI 2 인스턴스의 Hostname 변경하기
    까뮈_b
    까뮈_b
    까먹지 않기 위해서 개발 관련 시행착오를 정리한 포스트를 작성합니다.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