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Detached Head
깃으로 버전관리 하다보면 작업내용을 commit하고 원격저장소에 push할 때, detached head 상태에 있다며, push가 reject될 때가 있다. 빨리 저장소에 push해야하는 상황에서 이런 오류를 마주치면 당황하기 쉽상이다. 이미 commit은 했는데 push는 reject당했고, ide에 git graph를 보면 내가 방금 한 커밋은 보이지도 않고.. 처음 겪으면 눈 앞이 캄캄해진다. 간단한 해결법으로는 아래 명령어로 새 branch를 하나 파면서 checkout하고, 다시 원래 작업하던 branch로 checkout 하면 끝이다. $ git checkout -b 하지만 detached head가 정확히 뭔지, 왜 detached head 상태가 되는지 이해가 부족해서 알아봤다. Deta..
블로그 운영의 목적
필자는 이제 막 입사한지 1달이 조금 넘은 신입개발자로서, 개발 전반에 관련된 기초지식에 대한 부족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 비전공자 출신으로 급하게 중소기업에 취업해서 곧바로 실무에 투입된 만큼 기본기가 부족함에 대한 불안감이 너무 크지만, 막상 어떻게 공부를 해서 이 불안감을 없애야할 지 조차도 몰라서 허덕이고 있다. 여태까지는 퇴근 후 집에서 공부하는 시간을 가질 때, 회사에서 하던 작업을 들고와서 2~3시간씩 다시 작업을 하거나 분석하면서 공부를 했지만, 집에서도 '일'을 계속한다는 느낌과, "빨리 기능을 만들어야지"하는 조급함 때문에 지식이 쌓인다기 보다는 그냥 개발일정만 조금 당겨지는 느낌을 받았고, 실제로도 그런 것 같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앞으로는 개발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내가 평소에 부..
laravel에서 redirect()와 return view() 두 헬퍼함수의 역할과 차이
컨트롤러 내에서 작업 수행 후 특정 view페이지를 보여주거나, 현재 페이지를 벗어나서 다른 페이지로 리디렉션 시키고자 할 때가 있다. 이 때 각각 view() 와 redirect() 헬퍼함수를 호출하여 사용한다. redirect()와 view() 두 헬퍼함수는 용도가 전혀 다르지만, 뷰페이지가 바뀌는 점은 같으므로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될지 살짝 헷갈릴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redirect()는 uri를 변경시키는 함수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인증과 인가에 관련되어 해당 요청이 실패했을 때 uri를 변경시켜 사용자를 현재 페이지에서 벗어나게끔 할 때 사용한다. 반면에 view()는 특정 uri 요청이 들어왔을 때, 특정 view페이지를 반환해서 화면에 띄워주고 싶을 때 사용한다. 인증과 인가 먼저,..